최근 몇 년간 ‘Chat-GPT’, OpenAI의 텍스트-비디오 AI ‘Sora’ 등 초거대 AI 시스템의 출현으로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졌다. 초거대 AI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인지와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AI 시스템이다.
대표적인 예로 OpenAI의 Chat-GPT, Microsoft's Copilot, Google's AlphaGo, 네이버 Clova 등이 있으며, 고도로 지능화된 초거대 AI 구축을 위해서는 막대한 규모의 반도체 생산과 AI 운영을 뒷받침할 안정적 전력공급 시스템이 필수적이다.

Open AI의 CEO인 샘 알트먼은 2021년 핵융합발전 스타트업 Helio Energy에 투자하는 한편, 재생에너지,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7조 달러의 글로벌 투자를 제안한 바 있다. IEA(국제에너지기구)는 데이터센터·AI·가상화폐 부문의 전력수요가 2026년까지 2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, 특히, 미국 내 데이터센터 전력수요는 2023년 20GW에서 2030년에는 55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. 이처럼 전력 인프라의 중요성이 대두되자, 미 증시에서는 전력 유틸리티 섹터가 통신 서비스 섹터에 이어 연초 대비 상승률 3위를 기록하며 엄청난 상승률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.
미국 내 데이터센터 전력수요
2023년
20GW
20GW
2배 ▲


2030년
55GW
55GW
1.
2.
3.
글 주윤정 인사처 인재채용부장